목록뒷방에서 CNN BBC (1243)
골방잡담

2025년 1월,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로 지정하면서 한미 관계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습니다. ‘민감국가’란? DOE 웹사이트에 따르면, 국가 안보,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 경제적 위협, 테러 지원 등의 이유로 특정 국가를 민감국가 명단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한국이 왜 포함되었는지 명확한 설명은 없었습니다. 이번 결정이 한미 간 첨단 기술 및 에너지 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앞으로의 외교 협상에 달려 있습니다.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는? 전문가들은 두 가지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1. 한국 내 ‘핵무장론’ 확산최근 한국에서 독자적인 핵무장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미국이 이를 경계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2. 2..

AlamyPortrait of Saint Jerome (Credit: Alamy) 최근 로마에서 거대한 예술 위작 공장이 발견되면서, 미술계에서 위작이 얼마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지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에 AI를 이용한 위조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오래전부터 미술 위작은 존재해 왔으며, 이를 구별하는 전통적인 방법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5가지 원칙을 통해 위작을 판별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1. 안료(Pigment)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미술 위작범은 작품의 기법뿐만 아니라 재료까지 철저하게 연구해야 하지만, 시대에 맞지 않는 안료 사용은 쉽게 들통이 납니다. 독일의 유명한 위작범 볼프강 벨트라키(Wolfgang Beltracchi)는 다양한 화가들의 새로..

DisneyGal Gadot and Rachel Zegler in a scene from Snow White – both stars have faced a backlash for their political views (Credit: Disney) 디즈니의 실사 영화 "백설공주" (2025) 가 아직 개봉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정치적 이슈부터 캐스팅 논란, 캐릭터 설정 변경까지 다양한 이유로 2025년 가장 논쟁적인 영화로 떠오르고 있습니다.정치적 논란: 주연 배우들의 상반된 입장 갤 가돗(이스라엘 출신, 여왕 역)이스라엘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특히 하마스의 10월 7일 공격 이후 강력한 친이스라엘 발언을 했습니다.이로 인해 일부 팔레스타인 지지자들이 보이콧 운동을 제기했습니..

The Port of Balboa, managed by CK Hutchison Holdings, at the entrance to the Panama Canal in Panama City, on March 12, 2025 Martin Bernetti/AFP/Getty Images 중국이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의 파나마 운하 항구 인수 계획을 강력히 비판하며, 이를 "비굴한 굴종"이자 "중국인의 배신"이라고 규탄했다. 이번 논란은 중국 공산당 계열 매체인 '타이쿵파오(大公報)'가 홍콩의 대기업 CK 허치슨 홀딩스(CK Hutchison Holdings)가 국가 이익을 저버리고 이윤을 좇고 있다고 비판한 후 촉발되었다. 이 기사가 공개된 직후, CK 허치슨의 주가는 6% 이상 급락하며 시..

Phil Goff pictured in June 2021. Ricky Wilson/AP 트럼프가 재집권하며 전 세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그에 대한 비판이나 바른 말을 하는 사람들이 정치적 논란에 휘말리며, 이에 대한 후폭풍을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의 가장 가까운 우방국 중 하나인 캐나다의 트뤼도 총리도 사임했고, 이번에는 뉴질랜드 고위 외교관이 그의 발언으로 인해 논란에 휩싸였다. 트럼프의 역사적 지식 의문 제기한 뉴질랜드 대사, 해임 뉴질랜드의 영국 주재 대사 필 고프(Phil Goff)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역사적 이해력을 공개적으로 의문시한 발언을 한 후 해임되었다. 고프는 런던에서 열린 국제 싱크탱크 채텀 하우스(Chatham House) 연설에서, 19..

Getty Images1680 painting The Last Communion of Saint Mary of Egypt by Italian artist Marcantonio Franceschini (Credit: Getty Images)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새로운 연구가 이집트의 성녀 마리아 전설을 재조명하고 있다. 성녀 마리아는 어두운 피부를 가진 고령의 여성이었으며, 젊었을 때 방탕한 생활을 했지만 결국 성녀로 추앙받았다. 이 전설은 11세기 잉글랜드에서 라틴어에서 고대 영어로 번역되었고, 이후 여러 유럽 언어로 번역되면서 중세 시대의 블록버스터급 이야기가 되었다. 성녀 마리아의 이야기는 당시 여성 성인의 전형적인 이미지와는 전혀 달랐다. 대부분의 여성 성인들은 순결한 처녀로 묘사되었지만, 마리아는..

Muslims around the world will be observing Ramadan during March in 2025. Luis Tato/AFP/Getty Images 전 세계 인구는 80억 명이 넘으며, 이 중 약 1/4이 라마단 한 달 동안 해가 떠 있는 동안 금식합니다.2025년 라마단은 2월 28일부터 3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 무슬림이 아닌 우리에게는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비즈니스 파트너나 SNS 친구가 갑자기 ‘라마단’을 이유로 연락이 늦어지거나 업무가 지연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 당황하지 말고 그들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비무슬림인 우리가 라마단을 보내는 무슬림 친구들에게 실례가 되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할 것이 있을까요? 아니요..

며칠 전, 백악관에서 열린 트럼프-젤렌스키 정상회담의 설전 영상이 전 세계로 전해졌다. 마치 국내의 팟캐스트 토론을 보는 듯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 취재진 앞에서 토론을 하는 모습이었지만 전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지원에 대한 감사 표시를 요구하며 즉각적인 전쟁 종식을 주장했지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무너지면 유럽과 미국의 안전도 보장할 수 없다고 맞섰다. 미국이 지원의 대가로 우크라이나 광물 수익의 50%를 요구한 계약은 결국 성사되지 않았다. 3개월이면 끝날 것이라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어느덧 3년이 흘렀다. 이제 어떤 형태로든 종전이 다가오고 있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트럼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추진하지만 난항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

역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떻게 기억되고 해석되는가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오랜 갈등의 원인이 되어왔으며, 국제적으로도 인권과 전쟁 범죄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이후, 한반도는 식민지배에서 해방되었고, 그 과정에서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 문제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일본 내 일부 정치 세력과 학자들은 이 문제를 강제성이 없는 전시(戰時) 매춘업의 일부라고 주장하며 역사적 사실을 축소하거나 부정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견해 차이는 단순한 역사적 논쟁을 넘어, 외교적 갈등, 국제사회에서의 이미지 전쟁, 그리고 피해자들에 대한 정의 구현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Getty ImagesSpanish is one of the most spoken languages in the US after English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영어를 미국의 공식 언어로 지정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정부 기관 및 연방 기금을 받는 단체는 영어 외 다른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할지 선택 가능.2000년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서명한 비영어권 사용자 지원 정책 철회.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연방 차원에서 공식 언어 지정.기존의 비영어권 지원 서비스는 계속 제공 가능.> 트럼프: 영어 사용이 경제적 기회를 확대하고 미국 사회에 더 잘 통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 강조.> 반대 측: 공식 언어 지정이 불필요하며, 비영어권 사용자 차별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 현재 미국에서는 약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