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뒷방에서 CNN BBC/국제 비즈니스 전쟁 (335)
골방잡담

우리나라가 지난 4개월 동안 계엄령과 탄핵 정국으로 휘청이는 사이,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조용히 세계 무역 질서를 흔들어놓고 있었다. ‘상호 관세’라는 이름의 일방적인 조치를 통해 중국, 유럽연합(EU),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정조준했고, 우리나라 역시 25%라는 고율의 관세 대상이 되었다.■ 전면적 수입 관세 선언2025년 4월 4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이 조치는 약 60개국 또는 무역 블록에 대해 그보다 높은 수준의 ‘상호 관세’를 적용하며, 새로운 글로벌 무역 전쟁의 서막을 예고하고 있다. ■ 최대 피해국: 중국과 유럽연합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될 국가는 단연 중국과 EU다. 중국에는 기존 20% 관세에 ..

Demonstrators in Seoul last month calling for the ouster of impeached President Yoon Suk Yeol.Credit...Chang W. Lee/The New York Times 는 "How South Korea’s Democracy Prevailed Over a Reckless Leader"(무모한 지도자를 이겨낸 한국 민주주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상과 몰락이 한국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한편, 그 회복력 또한 분명히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기사에 따르면, 한국 국민은 언제나 민주주의를 위해 싸울 준비가 되어 있었으며, 이번 사태는 그 준비성과 결단력을 여실히 드러낸 사건이었다. 1. 윤석열 전 대통령의 ..

ReutersMany people had camped outside the court since the night before in anticipation of the ruling 2025년 4월 4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를 만장일치로 인용하며 공식적으로 대통령직에서 파면했습니다. 이는 작년 12월, 윤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을 국회에 투입하라고 명령한 지 약 4개월 만의 일입니다. 이번 판결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추락했던 한국의 대외 신뢰도 회복과 정치 정상화를 기대하게 만드는 중대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경제, 외교, 국가 신인도 등 모든 부문에서의 회복이 절실한 시점입니다.파면의 배경: 계엄령과 민주주의 위기 윤 대통령은 “반국가 세력”의 ..

South Korean demonstrators call for impeached President Yoon Suk Yeol's removal from office in Seoul on March 1, 2025. © AP 윤석열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국격(Brand Korea)을 실추시키고, 민주주의를 위협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윤 전 대통령의 행동은 한국 민주주의의 신뢰도를 손상시켰으며, 계엄령이라는 위험한 결정을 내린 대가를 치르고 있다.이제 대한민국은 2026년 이후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이제 윤석열 탄핵 이후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미래는 어디로 갈 것인가?탄핵과 국가적 혼란2025년 3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구치소에서 석방되었다.헌법재판소가 ..

2025년 1월,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로 지정하면서 한미 관계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습니다. ‘민감국가’란? DOE 웹사이트에 따르면, 국가 안보,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 경제적 위협, 테러 지원 등의 이유로 특정 국가를 민감국가 명단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한국이 왜 포함되었는지 명확한 설명은 없었습니다. 이번 결정이 한미 간 첨단 기술 및 에너지 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앞으로의 외교 협상에 달려 있습니다.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는? 전문가들은 두 가지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1. 한국 내 ‘핵무장론’ 확산최근 한국에서 독자적인 핵무장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미국이 이를 경계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2. 2..

The Port of Balboa, managed by CK Hutchison Holdings, at the entrance to the Panama Canal in Panama City, on March 12, 2025 Martin Bernetti/AFP/Getty Images 중국이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의 파나마 운하 항구 인수 계획을 강력히 비판하며, 이를 "비굴한 굴종"이자 "중국인의 배신"이라고 규탄했다. 이번 논란은 중국 공산당 계열 매체인 '타이쿵파오(大公報)'가 홍콩의 대기업 CK 허치슨 홀딩스(CK Hutchison Holdings)가 국가 이익을 저버리고 이윤을 좇고 있다고 비판한 후 촉발되었다. 이 기사가 공개된 직후, CK 허치슨의 주가는 6% 이상 급락하며 시..

Phil Goff pictured in June 2021. Ricky Wilson/AP 트럼프가 재집권하며 전 세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그에 대한 비판이나 바른 말을 하는 사람들이 정치적 논란에 휘말리며, 이에 대한 후폭풍을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의 가장 가까운 우방국 중 하나인 캐나다의 트뤼도 총리도 사임했고, 이번에는 뉴질랜드 고위 외교관이 그의 발언으로 인해 논란에 휩싸였다. 트럼프의 역사적 지식 의문 제기한 뉴질랜드 대사, 해임 뉴질랜드의 영국 주재 대사 필 고프(Phil Goff)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역사적 이해력을 공개적으로 의문시한 발언을 한 후 해임되었다. 고프는 런던에서 열린 국제 싱크탱크 채텀 하우스(Chatham House) 연설에서, 19..

며칠 전, 백악관에서 열린 트럼프-젤렌스키 정상회담의 설전 영상이 전 세계로 전해졌다. 마치 국내의 팟캐스트 토론을 보는 듯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 취재진 앞에서 토론을 하는 모습이었지만 전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지원에 대한 감사 표시를 요구하며 즉각적인 전쟁 종식을 주장했지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무너지면 유럽과 미국의 안전도 보장할 수 없다고 맞섰다. 미국이 지원의 대가로 우크라이나 광물 수익의 50%를 요구한 계약은 결국 성사되지 않았다. 3개월이면 끝날 것이라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어느덧 3년이 흘렀다. 이제 어떤 형태로든 종전이 다가오고 있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트럼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추진하지만 난항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

Getty ImagesSpanish is one of the most spoken languages in the US after English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영어를 미국의 공식 언어로 지정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정부 기관 및 연방 기금을 받는 단체는 영어 외 다른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할지 선택 가능.2000년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서명한 비영어권 사용자 지원 정책 철회.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연방 차원에서 공식 언어 지정.기존의 비영어권 지원 서비스는 계속 제공 가능.> 트럼프: 영어 사용이 경제적 기회를 확대하고 미국 사회에 더 잘 통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 강조.> 반대 측: 공식 언어 지정이 불필요하며, 비영어권 사용자 차별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 현재 미국에서는 약 6,8..
A demonstrator holds a picture of jailed Kurdish militant leader Abdullah Ocalan during a rally in Diyarbakir, Turkey on Thursday. Sertac Kayar/Reuters 쿠르드족(Kurds)은 독자적인 문화, 언어, 사회구조를 가진 중동의 주요 민족이지만, 아직까지 독립 국가를 이루지 못한 대표적인 유랑 민족입니다. 터키(1,470만 명), 이란(810만 명), 이라크(550만 명), 시리아(170만 명), 그리고 아르메니아 국경의 산악지대에 거주하며, 전체 인구는 약 2,500만~3,500만 명으로 중동에서 네 번째로 큰 민족으로 추산됩니다. 대다수가 이슬람교를 신봉하지만, 이들이 거주하는 국가에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