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뒷방에서 CNN BBC/국제 비즈니스 전쟁 (340)
골방잡담
Chinese leader Xi Jinping visits the JL MAG Rare-Earth Company in the city of Ganzhou, Jiangxi Province, on May 20, 2019. Xie Huanchi/Xinhua News Agency/Getty Images 트럼프의 관세 전쟁은 이제 ‘희토류 전쟁’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중국은 희토류 공급망을 무기 삼아 미국 산업의 ‘약한 고리’를 정확히 겨누고 있습니다. 과연 미국은 이 거대한 공급망의 틈을 메우고 기술 패권 경쟁에서 반격할 수 있을까요? 시진핑의 ‘희토류 전략 자산’ 발언… 그리고 6년 후 2019년, 도널드 트럼프의 첫 무역전쟁이 발발한 지 1년도 되지 않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중국 장시성 간저우에 위치한..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이 발표한 ‘2025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블랙핑크의 로제, 미국 교포 배우 다니엘 대 킴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각기 다른 분야에서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는 이 세 인물은, 지금 이 시대의 도전과 변화를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재명 – 시련을 딛고 일어선 차기 지도자 이재명 대표의 삶은 극복의 연속이었습니다. 농촌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시절 매일 왕복 16km를 걸어 등하교했고, 어린 나이에 공장에서 일하다가 프레스기에 손목이 눌리는 사고를 겪었습니다.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를 거쳐 2022년 대선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아쉽게 패했지만, 2024년에는 계엄령을 선포한 윤 대통령에 맞서..

Canada and the US have disputed the sovereignty of the 'Grey Zone' since the 1700s 오랜 우방이었던 미국과 캐나다 사이, 균열이 커지고 있다“그레이 존(Grey Zone)”에서 벌어지는 랍스터 전쟁 미국 메인 주와 캐나다 뉴브런즈윅 주 사이의 마차스 실 섬(Machias Seal Island) 주변 해역은 오랜 시간 양국이 영유권을 주장해온 분쟁 지역입니다.매년 여름, 이 지역에서 랍스터 어업이 치열하게 벌어지며 양국 어민들 간 충돌과 부상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미국 어민들은 캐나다 어민들이 느슨한 규정으로 더 큰 랍스터를 잡는다고 주장하고, 캐나다 측은 미국 어선들이 자국 영해를 침범한다고 반박합니다.트럼프, 캐나다를 ‘51번째 주’로 흡..

미·중 무역 전쟁, 단순한 경제 갈등을 넘어서는 정치적 메시지 “우리는 물러설 이유가 없다”는 중국의 입장 중국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왜 우리가 미국,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징징거림에 반응해야 하죠? 처음에 무역 혼란을 만든 것도 미국인데, 왜 지금 모두가 미국의 기분을 맞춰줘야 하죠?" 베이징과 워싱턴 사이의 긴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더 이상 미국의 일방적인 압박에 일일이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즉, 트럼프가 만들어낸 무역 전쟁의 혼란을 이제 와서 미국이 수습하려 한다면, 그 책임도 미국에 있다는 것이죠. 트럼프의 압박에도 중국은 흔들리지 않는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압박을 가하고 있지만, 중국은 이에 굴복할 이..

The preparedness booklet "If the crisis or war comes" was distributed to households in Sweden in November. Claudio Bresciani/TT News Agency/AFP/Getty Images 유럽은 전쟁을 준비 중인데, 시민들은 응답할까? 미국의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제대로 된 전략도 없이 중국을 상대로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승산은 그리 높아 보이지 않는다. 중국은 트럼프의 체면을 세워주기는커녕, 아예 한국전쟁 참전의 상징인 마오쩌둥(모택동)*까지 언급하며 강하게 맞서겠다는 태세다. 아이러니하게도, 동맹을 무시하고 조롱하던 트럼프 행정부가 이제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동맹의 도움이 절실해진 상황에 직면해 ..

우리나라가 지난 4개월 동안 계엄령과 탄핵 정국으로 휘청이는 사이,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조용히 세계 무역 질서를 흔들어놓고 있었다. ‘상호 관세’라는 이름의 일방적인 조치를 통해 중국, 유럽연합(EU),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정조준했고, 우리나라 역시 25%라는 고율의 관세 대상이 되었다.■ 전면적 수입 관세 선언2025년 4월 4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이 조치는 약 60개국 또는 무역 블록에 대해 그보다 높은 수준의 ‘상호 관세’를 적용하며, 새로운 글로벌 무역 전쟁의 서막을 예고하고 있다. ■ 최대 피해국: 중국과 유럽연합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될 국가는 단연 중국과 EU다. 중국에는 기존 20% 관세에 ..

Demonstrators in Seoul last month calling for the ouster of impeached President Yoon Suk Yeol.Credit...Chang W. Lee/The New York Times 는 "How South Korea’s Democracy Prevailed Over a Reckless Leader"(무모한 지도자를 이겨낸 한국 민주주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상과 몰락이 한국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한편, 그 회복력 또한 분명히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기사에 따르면, 한국 국민은 언제나 민주주의를 위해 싸울 준비가 되어 있었으며, 이번 사태는 그 준비성과 결단력을 여실히 드러낸 사건이었다. 1. 윤석열 전 대통령의 ..

ReutersMany people had camped outside the court since the night before in anticipation of the ruling 2025년 4월 4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를 만장일치로 인용하며 공식적으로 대통령직에서 파면했습니다. 이는 작년 12월, 윤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을 국회에 투입하라고 명령한 지 약 4개월 만의 일입니다. 이번 판결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추락했던 한국의 대외 신뢰도 회복과 정치 정상화를 기대하게 만드는 중대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경제, 외교, 국가 신인도 등 모든 부문에서의 회복이 절실한 시점입니다.파면의 배경: 계엄령과 민주주의 위기 윤 대통령은 “반국가 세력”의 ..

South Korean demonstrators call for impeached President Yoon Suk Yeol's removal from office in Seoul on March 1, 2025. © AP 윤석열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국격(Brand Korea)을 실추시키고, 민주주의를 위협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윤 전 대통령의 행동은 한국 민주주의의 신뢰도를 손상시켰으며, 계엄령이라는 위험한 결정을 내린 대가를 치르고 있다.이제 대한민국은 2026년 이후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이제 윤석열 탄핵 이후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미래는 어디로 갈 것인가?탄핵과 국가적 혼란2025년 3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구치소에서 석방되었다.헌법재판소가 ..

2025년 1월,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로 지정하면서 한미 관계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습니다. ‘민감국가’란? DOE 웹사이트에 따르면, 국가 안보,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 경제적 위협, 테러 지원 등의 이유로 특정 국가를 민감국가 명단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한국이 왜 포함되었는지 명확한 설명은 없었습니다. 이번 결정이 한미 간 첨단 기술 및 에너지 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앞으로의 외교 협상에 달려 있습니다.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는? 전문가들은 두 가지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1. 한국 내 ‘핵무장론’ 확산최근 한국에서 독자적인 핵무장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미국이 이를 경계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