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방잡담

무모한 지도자를 이겨낸 한국 민주주의 본문

뒷방에서 CNN BBC/국제 비즈니스 전쟁

무모한 지도자를 이겨낸 한국 민주주의

sisu_ 2025. 4. 6. 14:28
Demonstrators in Seoul last month calling for the ouster of impeached President Yoon Suk Yeol.Credit...Chang W. Lee/The New York Times
 
 

<뉴욕타임스>는 "How ​South Korea’s Democracy Prevailed Over a Reckless Leader"(무모한 지도자를 이겨낸 한국 민주주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상과 몰락이 한국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한편, 그 회복력 또한 분명히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기사에 따르면, 한국 국민은 언제나 민주주의를 위해 싸울 준비가 되어 있었으며, 이번 사태는 그 준비성과 결단력을 여실히 드러낸 사건이었다.


 

1. 윤석열 전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행보

  • 윤석열은 대통령 후보 시절 손바닥에 ‘왕(王)’자를 적고 다녀, 국민들 사이에서 무속 신앙과 권력욕에 대한 조롱을 받았습니다.
  • 대통령 취임 후, 그는 청와대를 나와 군사시설인 국방부 청사로 집무실을 옮기고, 생일에는 경호팀이 “하늘이 내린 대통령”이라 칭송하는 노래를 부르기도 했습니다.
  • 과학기술 예산을 삭감하려 하자 이에 항의한 대학생이 경호원에게 제압당해 끌려 나오는 일이 있었고, 비판적인 언론사에 대해 검찰이 압수수색을 단행했습니다.

👉 권력 남용과 표현의 자유 억압은 점점 심해졌고, 시민의 경계심도 커졌습니다.

 


2. 계엄령 선포와 시민 저항

  • 2024년 12월 3일, 윤 대통령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공수부대를 국회에 투입해 입법부를 장악하려 했습니다.
  • TV에 계엄령 선포 장면이 나오자 시민들은 즉시 국회 앞으로 몰려가 맨손으로 군을 가로막으며 진입을 저지했습니다.
  • 덕분에 국회의원들이 국회에 도착할 수 있었고, 윤 대통령 소속 정당 의원들 일부도 동참하여 계엄령 해제탄핵소추안 통과가 이루어졌습니다.
  • 12월 14일, 국회는 탄핵을 가결했고,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는 8명 전원 찬성으로 탄핵을 인용, 윤 대통령은 파면되었습니다.

👉 시민 행동 + 민주 제도 작동 = 권위주의적 쿠데타 저지


3. 민주주의의 회복력과 제도적 안정성

  • 1987년 민주화 운동 이후 제정된 헌법은 국회에 계엄령 해제 및 대통령 탄핵권, 헌법재판소에 최종 판단 권한을 부여합니다.
  • 이번 사태는 그 헌법이 만들어 놓은 ‘민주적 방어 장치’가 실제로 효과를 발휘한 드문 사례입니다.
  • 헌재 결정에 윤 대통령이 임명한 보수 성향 재판관들도 찬성표를 던졌다는 점은 사건의 명확성과 함께 이념적 분열을 초월한 헌정 수호 의지를 보여줍니다.

4. 세대 간 연대와 기억의 힘

  •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처럼, 시민들은 다시 한 번 “광장”으로 모여 민주주의를 지켰습니다.
  • 젊은 세대는 과거 독재의 기억이 없지만, 영화나 소설 (한강 등 작가의 작품) 등을 통해 역사적 교훈을 배워왔습니다.
  • 이번 사건에서 가장 먼저 거리로 나선 건 이 80년대 이후 세대였고, 이는 세대 간 기억과 민주주의 가치를 잇는 다리 역할을 했습니다.

5. 전문가들의 평가

  • 대니얼 스나이더 (스탠퍼드대): “이번 쿠데타 시도에 대한 즉각적이고 대규모 시민 저항은 한국 민주주의의 성숙함을 보여줬다.”
  • 알렉시스 더든 (코네티컷대): “한국인은 1980년대로의 회귀를 원하지 않는다. 윤 대통령과 참모들은 지금의 한국을 제대로 읽지 못했다.”
  • 조갑제 (언론인): “우리는 계엄을 겪은 적은 있지만, 무장 군인을 국회에 보낸 대통령은 윤석열이 최초였다.”

6. 남은 과제: 양극화와 선거

  • 윤 대통령의 퇴진으로 위기는 일단락됐지만, 정치적 양극화와 진영 대결은 여전합니다.
  • 대통령 선거가 두 달 앞으로 다가오며, 보수와 진보의 갈등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 하지만 많은 시민들은 이번 사태를 통해, 민주주의가 그냥 주어진 것이 아님을 다시 깨달았고, 다시금 그 소중함을 자각하게 되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권력 장악 시도는 실패로 끝났지만, 이 사태는 한국 민주주의가 얼마나 강인하고 유연한지를 세계에 보여준 사건입니다. 시민의 힘, 제도의 작동, 세대 간 연대가 하나로 모여, 한국은 다시 한 번 민주주의의 본질을 지켜냈습니다.

 

How ​South Korea’s Democracy Prevailed Over a Reckless Leader

The rise and fall of Yoon Suk Yeol exposed a vulnerability in South Korean democracy, but also a resilience. Its people were always ready to fight for it.

www.nytimes.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