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방잡담
미국, 한국을 ‘민감국가’ 지정… 과학·기술 협력 영향은? 본문

2025년 1월,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로 지정하면서 한미 관계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습니다.
‘민감국가’란?
DOE 웹사이트에 따르면, 국가 안보,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 경제적 위협, 테러 지원 등의 이유로 특정 국가를 민감국가 명단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이 왜 포함되었는지 명확한 설명은 없었습니다. 이번 결정이 한미 간 첨단 기술 및 에너지 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앞으로의 외교 협상에 달려 있습니다.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는?
전문가들은 두 가지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1. 한국 내 ‘핵무장론’ 확산
- 최근 한국에서 독자적인 핵무장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미국이 이를 경계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이 ‘지역 불안정’ 요소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정이 현실적으로 한미 간 원자력, 인공지능(AI), 첨단 반도체 기술 협력에 제약을 줄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정치권의 반응
한국 정치권에서는 이번 사안을 두고 책임 공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정부 기관들은 미국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번 지정은 완벽한 외교 실패이며, 첨단기술 협력이 위축될 수 있다."
-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 "민주당의 반미 감정 조장과 과도한 탄핵 추진이 이 사태를 불러온 원인이다."
정부는 현재 미국과의 협력을 유지하면서도 외교적으로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What’s Next?)
미국 DOE와 한국 정부의 추가 협상 여부
한미 기술·에너지 협력에 실질적 제재가 가해질 가능성
국내 정치적 논란 지속과 향후 외교 전략 변화
이번 결정이 단순한 정치적 조치인지, 아니면 장기적인 기술 협력 제한으로 이어질지는 앞으로의 협상 과정에서 결정될 것입니다.
'뒷방에서 CNN BBC > 국제 비즈니스 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대통령 파면... 한국 민주주의는 어디로 가는가? (2) | 2025.04.04 |
---|---|
2025년 윤석열 탄핵: 한국 민주주의는 어디로? (0) | 2025.03.18 |
파나마 운하, 미국의 품으로? 블랙록 인수에 중국 거센 반발 (0) | 2025.03.15 |
트럼프의 역사적 지식 의문 제기한 영구 주재 뉴질랜드 대사, 해임 (0) | 2025.03.15 |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3년간의 변화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