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256)
골방잡담

How to 'disappear' in Japan by SUNDANCE institute Sundance Institute(선댄스 재단)에서 만든 비디오 자막을 소개한다. 히키코모리(hikicomori, 은둔형 외톨이) 와는 또 다른 가족 붕괴의 쓸쓸한 뒷모습을 보여 주며, 이러한 심각한 사회적 증상이 문화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다큐멘터리다. 현대 사회의 한 단면일지도 모른다. 사라지기를 선택하는 일본인들: 일본 사회의 숨겨진 현실 Sundance Institute(선댄스 재단)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How to 'Disappear' in Japan는 매년 수만 명의 일본인이 스스로 실종을 선택하는 현상을 조명합니다. 이는 단순한 가출이 아닌, 가족과 사회로부터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일본 ..

영국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발표한 **2024년 민주주의 지수(Democracy Index 2024)**에서 한국의 민주주의 점수는 7.75로 하락하며, 2023년 8.09에서 크게 떨어졌다. 이에 따라 한국은 ‘완전한 민주주의(full democracy)’에서 ‘결함 있는 민주주의(flawed democracy)’로 강등되었다. 한국의 민주주의 지수 변화우리나라는 2020년 세계 23위로 ‘완전한 민주주의’ 국가에 합류했으며, 2021년에는 16위까지 상승하며 발전을 이뤘다. 그러나 2024년, 정치적 불안정성과 계엄령 선포 논란으로 인해 순위가 급격히 하락했다. 한국의 민주주의 지수 하락 원인 계엄령 선포 논란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반국가 세력 척결’을 명분으..

South Korean demonstrators call for impeached President Yoon Suk Yeol's removal from office in Seoul on March 1, 2025. © AP 윤석열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국격(Brand Korea)을 실추시키고, 민주주의를 위협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윤 전 대통령의 행동은 한국 민주주의의 신뢰도를 손상시켰으며, 계엄령이라는 위험한 결정을 내린 대가를 치르고 있다.이제 대한민국은 2026년 이후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이제 윤석열 탄핵 이후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미래는 어디로 갈 것인가?탄핵과 국가적 혼란2025년 3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구치소에서 석방되었다.헌법재판소가 ..

V-Dem 연구소는 2025년 보고서에서 대한민국을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선거 민주주의' 국가로 한 단계 낮춰 분류하였습니다. 이는 선거의 자유와 공정성은 유지되고 있으나, 행정부에 대한 사법적·입법적 통제, 시민적 자유 보호, 법 앞의 평등 보장 등에서 미흡함이 있다는 평가입니다. 선거 민주주의 지수(Electoral Democracy Index, EDI) Varieties of Democracy (V-Dem) 연구소의 선거 민주주의 지수(Electoral Democracy Index, EDI)는 국가별 민주주의 수준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지수는 선거의 자유로움과 공정성, 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대한민국의 선거 민주주의 지수는 2021년..

2025년 1월,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로 지정하면서 한미 관계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습니다. ‘민감국가’란? DOE 웹사이트에 따르면, 국가 안보,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 경제적 위협, 테러 지원 등의 이유로 특정 국가를 민감국가 명단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한국이 왜 포함되었는지 명확한 설명은 없었습니다. 이번 결정이 한미 간 첨단 기술 및 에너지 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앞으로의 외교 협상에 달려 있습니다.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는? 전문가들은 두 가지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1. 한국 내 ‘핵무장론’ 확산최근 한국에서 독자적인 핵무장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미국이 이를 경계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2. 2..

AlamyPortrait of Saint Jerome (Credit: Alamy) 최근 로마에서 거대한 예술 위작 공장이 발견되면서, 미술계에서 위작이 얼마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지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에 AI를 이용한 위조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오래전부터 미술 위작은 존재해 왔으며, 이를 구별하는 전통적인 방법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5가지 원칙을 통해 위작을 판별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1. 안료(Pigment)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미술 위작범은 작품의 기법뿐만 아니라 재료까지 철저하게 연구해야 하지만, 시대에 맞지 않는 안료 사용은 쉽게 들통이 납니다. 독일의 유명한 위작범 볼프강 벨트라키(Wolfgang Beltracchi)는 다양한 화가들의 새로..

DisneyGal Gadot and Rachel Zegler in a scene from Snow White – both stars have faced a backlash for their political views (Credit: Disney) 디즈니의 실사 영화 "백설공주" (2025) 가 아직 개봉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정치적 이슈부터 캐스팅 논란, 캐릭터 설정 변경까지 다양한 이유로 2025년 가장 논쟁적인 영화로 떠오르고 있습니다.정치적 논란: 주연 배우들의 상반된 입장 갤 가돗(이스라엘 출신, 여왕 역)이스라엘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특히 하마스의 10월 7일 공격 이후 강력한 친이스라엘 발언을 했습니다.이로 인해 일부 팔레스타인 지지자들이 보이콧 운동을 제기했습니..

The Port of Balboa, managed by CK Hutchison Holdings, at the entrance to the Panama Canal in Panama City, on March 12, 2025 Martin Bernetti/AFP/Getty Images 중국이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의 파나마 운하 항구 인수 계획을 강력히 비판하며, 이를 "비굴한 굴종"이자 "중국인의 배신"이라고 규탄했다. 이번 논란은 중국 공산당 계열 매체인 '타이쿵파오(大公報)'가 홍콩의 대기업 CK 허치슨 홀딩스(CK Hutchison Holdings)가 국가 이익을 저버리고 이윤을 좇고 있다고 비판한 후 촉발되었다. 이 기사가 공개된 직후, CK 허치슨의 주가는 6% 이상 급락하며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