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성평등 (6)
골방잡담

Getty ImagesShiori Ito has become the face of Japan's MeToo movement 일본 사회와 MeToo 운동 일본에서는 성폭력 피해 사실을 고발하는 ‘미투(MeToo)’ 운동이 다른 나라에 비해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성폭력 피해를 당한 사람이 오히려 사회적 공격을 받는 일본의 특수한 문화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그러나 시대적인 흐름인 인권과 성평등을 거스를 수는 없으며, 일본 사회도 결국 변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이토 시오리의 피해 고발과 법적 투쟁 이토 시오리(伊藤詩織)는 일본의 언론인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자신의 성폭행 피해를 공개하며 일본 MeToo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 되었다.그녀는 2015년 당시, 일본의 주요 방송사 TBS의 워싱턴 지국장이..

2024년은 세계 인구의 절반에 해당하는 36억 명이 주요 선거를 치른 해였지만,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이 지난 20년 동안 가장 느린 속도로 성장한 해이기도 했습니다. 27개 국가에서 선거 후 여성의 의회 의석수가 줄어들었고, 유럽 의회에서도 처음으로 여성 의석이 감소했습니다.여성 대표성 감소46개국의 선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약 3분의 2의 국가에서 여성 의원 수가 감소했습니다. 미국, 포르투갈, 파키스탄, 인도,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많은 국가에서 여성의 비율이 줄었으며, 유럽 의회에서도 처음으로 여성 의원 수가 감소했습니다. 소수의 진전영국, 몽골, 요르단, 도미니카공화국에서는 여성 대표성이 증가했으며, 멕시코와 나미비아는 첫 여성 대통령을 배출했습니다. 몽골은 여성 후보자에게 30%..

US NEWS 국가 순위에는 GDP, 인구, 1인당 국민소득이 나와 있지만, 국별 전반적인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의 요소들을 평가하였고, 한국은 15위에 올라 있다. Agility (14.18%): adaptable, dynamic, modern, progressive, responsive. Entrepreneurship (14.16%): connected to the rest of the world, educated population, entrepreneurial, innovative, provides easy access to capital, skilled labor force, technological expertise, transparent business practices, well-de..

Participants march on Women's Day in Tokyo, Japan, on March 8, 2019. 23일 천연 온천과 휴양지로 유명한 일본 중부의 한 작은 마을 쿠사쓰. 아라이 쇼코(51) 의원의 미투 폭로가 군마현 마을 여성들의 평판을 떨어뜨렸다는 이유로, 해임 요구가 92%라는 압도적인 투표로 가결되었다. 논란은 지난해 11월 아라이가 이 마을의 시장 쿠로이와 다다노부에 의해 성폭행당했다고 주장하는 전자책을 발간하면서 시작됐다. 시장 해임건의안이 부결됐고, 아라이는 한 달 뒤 의회에서 제명됐다. 그러나 제명은 항소되었고, 결국 현에 의해 번복되었다. 그녀가 복권된 후 쿠로이와 다카시 시의회 의장이 이끄는 주민 19명이 평의회에 해임요구서를 보내면서 아라이의 해임을 요구하는 주..

여성들은 생리 휴가를 받을 권리가 있는가? 이 나라들은 그렇게 생각한다. 모치즈키 사치미는 일본에서 20년 동안 일해 왔지만, 생리 기간 하루도 쉬어 본 적이 없다. 그것은 모치즈키가 운이 좋기 때문이다. 그녀의 생리는 큰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그녀는 생리 중이라는 것을 남성들인 그녀의 매니저들에게 알려야 하기 때문에 일본의 오랜 휴가권을 사용하는 것을 꺼려왔다. 이벤트 매니지먼트에서 일하는 모치즈키는 "매우 사적인 일이고, 특히 일본에서는 그런 일은 여전히 일종의 금기 사항"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그 일에 대해 어떤 남자와도 얘기하고 싶지 않다." 일본의 휴가 규정은 70년 이상 존재해 왔고, 그러한 정책을 가지고 있는 나라는 아시아에서 유일한 것은 아니다. 한국은 1953년에 생리 휴가를 채택했다..

Heroes in Harm's Way is the first Covid-19 focused TV drama - Image copyright CCTV Image caption "세상의 반은 여성이 떠 받치고 있다." 중국에서 국부로 추앙받는 마오쩌둥의 유명한 말이다.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으로 한반도 분단 고착, 그의 아들 마오안링 전사, 휴전 후, 김일성 친중파 숙청, 마오쩌둥 한국전 참전 후회... 등 먼 나라 이야기 같지만 우리나라 역사에 영향을 많이 끼쳤던 인물이다. 실제로 그의 여성관이 어떠했는 지는 알 수 없지만,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면 굉장한 선각자인 셈이다. 그로 인해 1949년 중국 공산당 대륙 통일 이후, 중국 여성의 지위가 많이 올라갔던 것만은 사실인 것 같다. 그러나 아래 드라마 관련..